크로스핏 오프시즌, 어벤저스들의 대결이 펼쳐집니다. 크로스핏을 사랑하는 여러분,
저스틴 입니다.
오늘도
Just In Crossfit 뉴스레터를 열어주셔서
감사해요 😀
2025년 1월 다시 크로스핏 게임즈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1월 15일부터 오픈 등록이 시작되었고
이제 모호했던 시즌 정보들이 어느정도 선명해 졌습니다.
오늘은
새롭게 변경된
2025년 크로스핏 게임즈 시즌 상세 일정과
룰북 내용을 알려드리려 해요.
2월 말까지 몸을 잘 만드셔서
올해도 작년보다 성장한 한해가 되시길 바래요! |
|
|
잠깐만요! ✋
Just In CrossFit 뉴스레터는
크로스핏🏋️ 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보내드려요.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크로스핏터들에게 공유해 보세요.😃 |
|
|
1. 오픈 등록: 2025년 1월 15일 ~ 오픈 시작 직전
2. 2025 크로스핏 Open: 2월 27일 ~ 3월 17일
- Open Workout 25.1: 2월 28일 금요일 오전 5시 ~ 3월 4일 화요일 오전 10시(한국시간)
- Open Workout 25.2: 3월 7일 금요일 오전 5시 ~ 3월 11일 화요일 오전 9시(한국시간)
- Open Workout 25.3: 3월 14일 금요일 오전 4시 ~ 3월 18일 화요일 오전 9시(한국시간)
3. Age-Group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 4월 3일 ~ 4월 6일
4. Team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 4월 24일 ~ 4월 27일
5. Adaptive 세미파이널: 5월 8일 ~ 5월 11일
6. Individual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 5월 1일 ~ 5월 4일
7. Individual 현장 예선 세미파이널: 4월 ~ 6월 (아래 일정 참조)
8. 커뮤니티 컵: 6월 9일 ~ 6월 15일
9. 2025 CrossFit Games: 8월 1일 ~ 8월 3일 |
|
|
2025년 게임즈 출전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2025년 크로스핏 오픈에서 상위 1%(또는, 최소 1200명) 안에 들어야 합니다.
즉, 오픈에서 1%에 들지 못한 선수는
Individual 지역 예선 세미파이널(In Person Qualifying Event) 에서 우승하더라도 크로스핏 게임즈 초청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크로스핏 오픈 1%는 그럼 구체적으로 몇 명에 들어야 한다는걸까요?
2024년 크로스핏 오픈 참가자 수는
남자 : 177,202 명, 여자 : 143,848 명 입니다.
여러가지 요인을 감안해 보았을 때 작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등록이 들어올 것으로 보이는데요.
남자 18만명, 여자 14만명으로 감안했을 때
대략 남자는 1800등, 여자는 1400등 안에 들게 되면
세미파이널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쿼터파이널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어떤 분은 기존 200-300명 올라가던 세미파이널에 1700명이 올라갈 수 있으니 세미파이널 진출 가능성이 6배 올랐다고 긍정적으로 보시기도 하더라구요.
참고-1) 선수의 지역은 거주지 기준으로 하며 시민권이 아니에요. 즉, 내가 한국에 살지만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미국에서 오픈을 치뤄야 하는건 아니에요.
참고-2) 성별 분류 정책이 변경되어 선수들은 반드시 출생 시 지정된 성별에 해당하는 부문에서 경쟁해야 해요. (남자로 태어났다면 지금은 여자라도 남자 부문에 출전하시라~ ) |
|
|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In Affiliate Semifinal) |
|
|
크로스핏 오픈 성적 상위 1% 가 소속 체육관 준결승에 진출하는데요.
5월 1일부터 4일까지 진행되는 온라인 대회입니다.
작년 쿼터파이널과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점이 두가지 있어요.
- 크로스핏 제휴 체육관에서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을 완료해야 합니다.
(사실 대부분은 그러고 있죠 이미?)
- 이 단계에서 바로 게임즈로 갈 수 있는 출전권을 딸 수 있습니다.
몇 명이 게임즈로 직행할 수 있을까요? 전 세계에서 남녀 12명입니다.. 🤣
기존에 뛰어났던 선수가 이 온라인 대회에서 여전히 강점을 드러낼 지, 의외의 다크호스가 나타날 지 기대가 됩니다.
참고 1) 세미파이널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다보니 모든 워크아웃 비디오를 Youtube 에 공개적으로 업로드 해야 해요. Public Review 가 도입되면서, 모든 세미파이널 참가 선수들의 기록을 저희가 볼 수 있어요. 퍼블릭 리뷰 과정에서 이의제기 신청을 많이 받은 선수의 영상은 정밀 분석 대상이 되어 페널티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이 프로세스는 크로스핏 HQ 가 잘 도입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참고 2) 세미파이널에 참가하는 박스에는 반드시 Head Judge 와 Secondary Judge를 지정해야 하는데요. Head Judge 는 L1 자격증을 소지하고 2025 Judge Course와 Advanced Judges Course 를 완료해야 해요. |
|
|
현장 예선 세미파이널(In Person Qualifying Event) |
|
|
올해 게임즈의 출전권은 남자 30장, 여자 30장이에요.
12장의 출전권이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에서 나오기 때문에
나머지 18개의 출전권은 10개의 현장 예선 대회에서 나옵니다.
현장 세미파이널 이벤트(IPQE)는 4월부터 6월 첫주까지 진행되는데요.
아프리카의 Renegade Games와 아시아의 Far East Throwdown 는 남녀 각각 1명 😓
나머지 대회들은 남녀 각각 2명을 배정받았습니다.
만약, 한 선수가 여러 대회에서 자격 순위에 오르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 자격을 얻은 대회에서 게임즈 초대를 받게 되고 그 자리는 다음 순위 선수가 채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선수가 일정상 현장 예선을 먼저 치르고 온라인으로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을 치뤘고 두 대회에서 모두 자격을 얻었다면 첫번째 현장 예선의 쿼터를 차지하게 되고, 온라인 소속 박스 세미파이널에서의 자격은 그 다음 순위의 선수가 가져갑니다. |
|
|
우리가 내는 OPEN 참가비 20달러는 어떻게 분배될까. |
|
|
크로스핏 게임즈는 여러분이 참가비로 내는 20달러가 어떻게 전체 상금에 분배되는 것인지 항목과 비율을 공개하고 있어요. 의도는 지원자가 많아질수록 전체 상금도 비례해서 많아지는.. 오징어게임 구조처럼 합리적 구조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룰북에 보시면 30만명 참가를 기준으로 어떻게 상금이 쪼개지는지 설명이 되어 있어요.(작년 참가자 344,396명)
제가 아래 표로 정리해 뒀으니 궁금하신 분은 확인해 보세요! |
|
|
참고) OPEN 상금
항목을 보면 개인선수와 제휴 박스에게 배분되는 상금이 있는데요. 오픈이 3개의 이벤트로 진행되는 만큼 매주 남녀 1,2,3 위에 대해 수상이 이뤄지고, 오픈 종합 1,2,3 등에 대한 수상도 진행됩니다.
제휴 박스 수상은 퍼포먼스와 오픈 등록 두가지 분야에서 수상합니다. 퍼포먼스 분야는 제휴박스 대표 팀의 우승 상금이고, 오픈 등록 분야는 오픈 등록 수가 많은 박스에게 돌아가는 상금입니다. 상금은 2500달러의 ROGUE 기프트카드입니다.
하지만 이 수상은 크로스핏 인구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간 불공평이 발생할 수 밖에 없겠죠? 제휴 박스 분야는 북미 동부 지역의 상위 18개 제휴 박스, 기타 지역 상위 17개사에게 수여됩니다. (북미 동부에서 상위 18위에 들려면 박스에서 156명이 오픈 등록을 해야해요😅 엄청나죠?)
개인적으로 열세 지역에 있는 아시아 참가자 입장에서 개인전 우승 상금 등은 공식 스폰서 쪽에서 제공하고, 참가 비용의 많은 비율을 지역별 세미파이널에 우승 상금에 할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 않나 싶어요.
현재 북미 지역에 편중된 크로스핏 인기를 분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크로스핏이 잘하는 선수들이 점점 잘하고 고이는 대회이다 보니, 퍼포먼스 상 열세인 지역에서는 내가 내는 대회 비용이 나와 함께 운동해봤고, 응원하기 쉬운 우리나라 선수에게 돌아가기보단 다른 대륙에 있는 최정상급 선수를 위한 상금이라는 것이 아쉽긴 할 수 있어요. 물론, 이건 맞고 틀리고 문제는 아닙니다 😀 크로스핏이 지향하는 방향의 문제이죠! |
|
|
지난 뉴스레터에서도 커뮤니티컵의 출범에 대해 말씀 드렸는데요. 구체적인 일정이 발표 되었습니다. 커뮤니티 컵은 6월 6일 - 6월 9일 까지 3개의 이벤트를 진행됩니다. 등록은 5월 12일 부터 시작되고 30달러 등록비를 지불해야 합니다.
오픈 이후 모든 참가자들은 커뮤니티 컵에 참가할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참가들은 오픈 결과에 따라 제공된 수준에서 경쟁하고, 자신이 속한 백분위에 따라 소속된 레벨에서 경쟁하게 됩니다. 10개의 레벨 중 하나를 부여받게 되고, LV1 그룹은 그들만의 경쟁을, LV8 그룹은 또 그들만의 새로운 대회를 진행하게 됩니다. |
|
|
이번 대회 복장 규정에서 논란이 되었던 부분은 손 보호 쪽 그립에서 나왔는데요. 최근 탄마를 바르지않고도 그립 재질이 합성 고무 기반으로 만들어진 Sticky Grip, Rubber Grip 이 크로스핏터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는데요. 이번 시즌 크로스핏 게임즈, 현장 세미파이널에서 이런 그립들은 모두 금지되고 직물 기반의 그립만 허용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오픈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요. 7.03 현장대회 - 특정복장 요구사항에 이 내용을 명시한 만큼 온라인 대회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 대회 특성상 그립 사용을 엄격하기도 어렵고, 상위 선수들에게 큰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결론은 현장 대회에 나가는 분을 제외한 우리는 마음껏 쓰자! 😎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룰북의 부록 7.03을 확인하세요! |
|
|
1월 15일부터 오픈 등록이 시작되었는데요.
오픈은 꼭 경쟁에서 이겨야 하는 오징어게임이라기보단
작년보다 성장한 내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아주 재밌는 이벤트에요.
꼭 참가 신청 하셔서 매년 성장하는 내 모습을
확인해보세요 |
|
|
Just In Crossfit 이번주는 어떠셨나요? 🤔
앞으로도 인사이트가 포함된 롱폼의 글은 뉴스레터에서 전달드리고
앞으로도 크로스핏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쉽게 풀어내
크로스핏을 더 재밌게 즐길 수 있도록 도움 드리는 뉴스레터가 되겠습니다.
혹시 평소에 알고 싶었던 크로스핏 주제가 있으면
저스틴에게 말씀해 주세요! 😁
|
|
|
Just In Crossfitjustin@justincrossfit.comSeoul, Gangnam District, Gangnam-daero, 464 비제바노빌딩 3층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